본문 바로가기
환경을 생각하며

미세먼지 알고 예방하기 - 1

by 존 템플턴 2018. 4. 6.

요즘 우리 마누라님께서 미세먼지를 주제 삼아 나에게 하도 잔소리를 해서 이와 관련하여

포스팅도 해볼까한다마침 대기환경기사도 준비중이니깐

 

자 그럼 먼저.. 환경관련 이슈니 먼저 환경법부터 검토.

 

1.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 환경기준을 먼저 보니..


항목

기준

측정방법

미세먼지

(PM-10)

연간 평균치

50/㎥ 이하

24시간 평균치

100/㎥ 이하

베타선 흡수법

(β­Ray Absorption Method)

미세먼지

(PM-2.5)

연간 평균치

25/㎥ 이하

24시간 평균치

50/㎥ 이하

중량농도법 또는 이에 준하는 자동 측정법

 

  여기서 PM-10 은 지름이 10 마이크로 미터(100만분의 1)보다 작음..

  PM-2.5는 지름이 2.5 마이크로 미터가 현재 미세먼지의 법적 정의 올시다..

  여튼 머리카락 굵기의 1/10도 안되는 크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미세먼지 성분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이 공기 중에서 반응하여 형성된 덩어리(황산염질산염)와 석탄.석유

   화석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류와검댕지표면 흙먼지등에서 생기는 광물..

 

3. 미세먼지 발생

   굴뚝등 발생원에서부터 고체 상태의 미세먼지로 나오는 경우(1차적 발생)

   발생원에서는 가스 상태로 나온 물질이 공기 중의 다른 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미세먼지

   형성(2차적 발생)

 

   떼놈들이 이 미세먼저의 주범이네 하는 이야기가 많은데..

하지만 우리 주변에 미세먼지의 주범들을 먼저 돌아보는게 우선일 하다.

제조업의 연소공정과 자동차를 포함한 이동 오염원들이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원인이라고 한다.


잠시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 : 황사란?









4. 미세농도의 측정치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털 사이트 날씨 정보도 좋으나 좀 기상청이랑 친해져 보는 것도 좋죠

 

 리아 에 가셔서 우리동네 대기정보와 대기질 예.경보 꼭 체크해보시구요..



 



 

* 울마누라가 요리할때 저렇게 이문 저문 열어놓고 난리인지 이제 알았네...






5. 대기오염경보단계별 기준.


재난정보 문자로 가끔씩 화들짝 놀라는데..

미세먼지 많다고 주의보/경보 365일 발령할 수도 없는데 그럼 기준은..

대기환경법 시행규칙 별표 7 (대기오염경보단계별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기준)

바로 이 기준입니다.






6. 예보등급과 행동요령


예보를 보면 좋음/보통/나쁨 이런 등급들이 나오는데 과연 세부적인 내용은 멀까요?

등급을 나누는 기준이라고 하는데 환경정책기본법상의 환경기준과 한번 비교해보시죠..









7. 미세먼지와 기상


  1) 역전현상


    일반적으로 대기는 고도가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짐

   (단열 체감률이라고 하는데 -0.5~-0.6/100m) 역전현상이 발생하면 즉 고도는 높아지는데 온도는 오히려 상승하게 되면 고도가 

   낮은 쪽에 무거운 공기가높은 쪽에 가벼운 공기가 위치해 무게 차에 의한 공기의 상하이동이 일어나지 않고 안정된 상태가 되어서

   대기오염물질은 지상층에 머무르게 된다. 


  



 2) 계절별 농도


   겨울과 봄에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편이고 여름과 가을에는 상대적으로 낮다.

   아마 여름에는 비가 많아서 그리고 가울에는 기압계의 흐름이 빠르고 대기순환의 원활이

   낮은 미세먼지 농도의 원인이라고 한다.

   겨울에는 난방 원료의 사용 그리고 봄에는 저기압과 건조한 지표면의 영향으로 인해 농도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8. 2017년 월별 미세먼지 농도 그래프

보시면 1월말, 5월 초, 12월 중순에 특히 심하죠..

미리 대비해보시죠..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