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일 전에 어느 화학관련 사업장에 갔었는데..
몇가지 우려되는 사항이 있어서 이렇게 한 글자 올립니다..
현재 사업장에서 교반기를 통한 회분식 반응기가 많이 쓰이고 있는데..
아래의 PROCESS SAFETY BEACON 8월호를 참조하시어 고반기 실패시 반응열의 제어에 대해 고민해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여기서 몇가지 생각해봐야 할 점 혹은 제가 기술사 출제 위원이라면 이러한 문제를 낼 듯 합니다..
1. 위 사고의 원인은 무엇인가?
2. 여러분이 공정엔지니어라면 온도 제어를 위한 개선방안?
3. 산안법에 따른 안전대책
4. 현재 이 공정에서 냉각수 유량과 반응열에 대해 논하시오..
1,2,3 번은 어느정도 정리가 되시리나 생각합니다만..
4번은 실제 유사사례를 한번 소개 해드립니다.
위의 그림은 메탄의 연소반응시 반응열의 제거라는 관점에서 공정 시뮬레이션 사례를 제가 직접 실행해봤습니다.
R1이 등온 반응기라는 관점하에 Conversion reaction으로 설정하고 반응 생성물을 초기 온도인 45도를 유지하기 위한
냉각수 유량과 연소열을 시뮬레이션 해봤습니다.
여기서 열교환기 E1은 일반적으로 교반기에 붙어 있는 자켓을 생각하세도 무방할 듯합니다.
온도제어를 위해서 사용되어야 할 CW량은 24,043 Kg/hr 이며 CW는 32도에서 40도의 환류온도를 가지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업장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교반기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화학사고를 예방하는것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공정안전(PS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조.건설업 화재폭발 예방 설비 국가 보조 지원 (0) | 2020.08.25 |
---|---|
PSM(공정안전보고서) 변경사항..2020년 개정안 (0) | 2020.04.04 |
안전 계기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0) | 2019.11.06 |
분진폭발을 생각하며.. (0) | 2018.08.23 |
공정안전보고서(PSM)의 모든 것.. (0) | 2018.04.15 |
댓글